본문 바로가기

GIT

(3)
3. 헷갈리는 용어 정리 upstream 가장 근본이 되는 레포 fork 당한 레포 origin fork로 인해 생성된 내 계정에 있는 레포를 origin 이라함 위 그림을 보면, Larry/Recipes = upstream 이고 Myaccount/Recipes = origin git remote add origin 형식으로 원격저장소를 추가하는데, origin은 에 해당하는 레포를 의미함 main( =master) 레포에서 default branch를 main branch로 명명함 checkout 깃에서는 항상 작업할 브랜치를 미리 선택해야한다. 맨 처음에는 메인 브랜치가 선택되어 있는데 다른 브랜치로 전환하여 작업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가 checkout이다. - (1) git branch 브런치 생성 - (2) git che..
2. Fork 와 clone 의 차이점 Fork GitHub에서 오픈소스 프로젝트에 기여하거나, 협업을 진행할 때 fork를 이용하게 된다. fork는 다른 사람의 repository를 내 소유의 repository로 복사하는 일이다. 따라서 원래 소유자의 remote repository와 내가 fork한 remote repository 사이에도 upstream 과 downstream이라는 관계가 형성된다. 그래서 보통 원래 소유자의 remote를 말할 때 upstream, 내가 포크한 remote를 말할 때 origin 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1. local과 origin의 관계에선 local이 downstream, origin이 upstream이었는데, 2. fork한 repository를 기준으로 보면 origin이 downstream..
1. remote repository 와 upstream 들어가기 전 Git 은 '분산 버전 관리 시스템' 중 하나이다. 버전 관리 시스템에서 '분산'이란 사용자가 원격 서버를 거치지 않고도 버전을 관리할 수 있다는 뜻으로, 중앙집중식인 서버-클라이언트 모델과 비교했을 때 갖는 가장 큰 특징이다. Gi! != Github Github는 Git을 바탕으로 하는 코드 호스팅 플랫폼이다. GitHub, GitLab 처럼 보통 네트워크 상의 서버에 있는 저장소를 remote repository 라고 부른다. 그리고 이런 remote에 있는 저장소를 git clone 하거나, git init 으로 생성해서 로컬에 존재하는 repository를 local repository 라고 한다. Local & Remote 편의상 로컬 머신에 존재하는 모든 repository는 l..